< 平成 : 1989년 1월 8일부터  ~ >

서기 2011년  =  평성 23년
서기 2010년  =  평성 22년
서기 2009년  =  평성 21년
서기 2008년  =  평성 20년
서기 2007년  =  평성 19년
서기 2006년  =  평성 18년
서기 2005년  =  평성 17년
서기 2004년  =  평성 16년
서기 2003년  =  평성 15년
서기 2002년  =  평성 14년
서기 2001년  =  평성 13년
서기 2000년  =  평성 12년
서기 1999년  =  평성 11년
서기 1998년  =  평성 10년
서기 1997년  =  평성  9년
서기 1996년  =  평성  8년
서기 1995년  =  평성  7년
서기 1994년  =  평성  6년
서기 1993년  =  평성  5년
서기 1992년  =  평성  4년
서기 1991년  =  평성  3년
서기 1990년  =  평성  2년
서기 1989년  =  평성  1년


< 昭和 : 1926년 12월 25일부터, 1989년 1월 7일까지 >

서기 1989년  =  소화 64년
서기 1988년  =  소화 63년
서기 1987년  =  소화 62년
서기 1986년  =  소화 61년
서기 1985년  =  소화 60년
서기 1984년  =  소화 59년
서기 1983년  =  소화 58년
서기 1982년  =  소화 57년
서기 1981년  =  소화 56년
서기 1980년  =  소화 55년
서기 1979년  =  소화 54년
서기 1978년  =  소화 53년
서기 1977년  =  소화 52년
서기 1976년  =  소화 51년
서기 1975년  =  소화 50년
서기 1974년  =  소화 49년
서기 1973년  =  소화 48년
서기 1972년  =  소화 47년
서기 1971년  =  소화 46년
서기 1970년  =  소화 45년
서기 1969년  =  소화 44년
서기 1968년  =  소화 43년
서기 1967년  =  소화 42년
서기 1966년  =  소화 41년
서기 1965년  =  소화 40년
서기 1964년  =  소화 39년
서기 1963년  =  소화 38년
서기 1962년  =  소화 37년
서기 1961년  =  소화 36년
서기 1960년  =  소화 35년
서기 1959년  =  소화 34년
서기 1958년  =  소화 33년
서기 1957년  =  소화 32년
서기 1956년  =  소화 31년
서기 1955년  =  소화 30년
서기 1954년  =  소화 29년
서기 1953년  =  소화 28년
서기 1952년  =  소화 27년
서기 1951년  =  소화 26년
서기 1950년  =  소화 25년
서기 1949년  =  소화 24년
서기 1948년  =  소화 23년
서기 1947년  =  소화 22년
서기 1946년  =  소화 21년
서기 1945년  =  소화 20년
서기 1944년  =  소화 19년
서기 1943년  =  소화 18년
서기 1942년  =  소화 17년
서기 1941년  =  소화 16년
서기 1940년  =  소화 15년
서기 1939년  =  소화 14년
서기 1938년  =  소화 13년
서기 1937년  =  소화 12년
서기 1936년  =  소화 11년
서기 1935년  =  소화 10년
서기 1934년  =  소화  9년
서기 1933년  =  소화  8년
서기 1932년  =  소화  7년
서기 1931년  =  소화  6년
서기 1930년  =  소화  5년
서기 1929년  =  소화  4년
서기 1928년  =  소화  3년
서기 1927년  =  소화  2년
서기 1926년  =  소화  1년


< 大正 : 1912년 7월 30일부터, 1926년 12월 25일까지 >

서기 1926년  =  대정 15년
서기 1925년  =  대정 14년
서기 1924년  =  대정 13년
서기 1923년  =  대정 12년
서기 1922년  =  대정 11년
서기 1921년  =  대정 10년
서기 1920년  =  대정  9년
서기 1919년  =  대정  8년
서기 1918년  =  대정  7년
서기 1917년  =  대정  6년
서기 1916년  =  대정  5년
서기 1915년  =  대정  4년
서기 1914년  =  대정  3년
서기 1913년  =  대정  2년
서기 1912년  =  대정  1년



< 明治 : 1868년 10월 23일부터, 1912년 7월 30일까지 >

서기 1912년  =  명치 45년
서기 1911년  =  명치 44년
서기 1910년  =  명치 43년
서기 1909년  =  명치 42년
서기 1908년  =  명치 41년
서기 1907년  =  명치 40년
서기 1906년  =  명치 39년
서기 1905년  =  명치 38년
서기 1904년  =  명치 37년
서기 1903년  =  명치 36년
서기 1902년  =  명치 35년
서기 1901년  =  명치 34년
서기 1900년  =  명치 33년
서기 1899년  =  명치 32년
서기 1898년  =  명치 31년
서기 1897년  =  명치 30년
서기 1896년  =  명치 29년
서기 1895년  =  명치 28년
서기 1894년  =  명치 27년
서기 1893년  =  명치 26년
서기 1892년  =  명치 25년
서기 1891년  =  명치 24년
서기 1890년  =  명치 23년
서기 1889년  =  명치 22년
서기 1888년  =  명치 21년
서기 1887년  =  명치 20년
서기 1886년  =  명치 19년
서기 1885년  =  명치 18년
서기 1884년  =  명치 17년
서기 1883년  =  명치 16년
서기 1882년  =  명치 15년
서기 1881년  =  명치 14년
서기 1880년  =  명치 13년
서기 1879년  =  명치 12년
서기 1878년  =  명치 11년
서기 1877년  =  명치 10년
서기 1876년  =  명치  9년
서기 1875년  =  명치  8년
서기 1874년  =  명치  7년
서기 1873년  =  명치  6년
서기 1872년  =  명치  5년
서기 1871년  =  명치  4년
서기 1870년  =  명치  3년
서기 1869년  =  명치  2년
서기 1868년  =  명치  1년

* 平成(평성) : 헤이세이
* 昭和(소화) : 쇼와
* 大正(대정) : 다이쇼
* 明治(명치) : 메이지


연 대

환산수치

비고

개국(開國)

 + 1391

 

명치(明治)

 + 1867

 

융희(隆熙)

 + 6

 

광무(光武)

 + 1896

 

대정(大正)

 + 11

 

소화(昭和)

 + 25

 

단기(檀紀)

 - 2333

 


    예) 단기 4334년를 서기로 바꾸려면  4334 - 2333 =

                                                                서기 2001년

        소화 17년을 서기로 바꾸려면 17 + 25 =   서기 1942년

        대정 3년을 서기로 바꿀려면 3+11 =        서기 1914년

'- >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세다대학에서 온 일본의 고대문화  (0) 2010.12.30
아웃도어 해외 사이트  (0) 2010.12.13
Return of looted artifacts needs careful diplomacy  (0) 2010.11.30
결혼아카데미  (2) 2010.11.29
800년의 타임캡슐  (0) 2010.11.23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2010. 12. 7. 17:46


이제 겨울 '_'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내린다!!!  (6) 2010.12.09
가능합니다.  (0) 2010.12.09
우리팀 : )  (3) 2010.11.30
비화가야(非火伽倻)  (0) 2010.11.30
5년 전 그날,  (0) 2010.11.28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Return of looted artifacts needs careful diplomacy


Hubert Vedrine, former French foreign minister under President Francois Miterrand, talks to The Korea Times about how countries have been approaching resolving the contested ownership of looted artifacts.
/ Korea Times photo
by Shim Hyun-chul
By Kang Hyun-kyung

Top-notch, superior museums attract countless visitors from all across the globe every year thanks to their extensive showcases of diverse specimens and objects ranging from anthropology, zoology and historical scientific instruments.

What’s inside these special museums, the intricacies of national possessions however stand in contrast to the elegance in the presentation of these objects.

Contested ownership and the nation of origin of national artifacts often lead to lengthy diplomatic disputes.

Hubert Vedrine, a former French foreign minister (1997-2002), said that thousands of disputes concerning the return of cultural asset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to the country of origin are underway everywhere in the world.

“In several countries, the disputes tend to take the form of a decades-long domestic debate between the conservatives in the culture industry and open-minded politicians,” he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through an interpreter at a Seoul hotel last Wednesday.

Vedrine continued to say that conservatives tend to be reluctant in handing over cultural property which is under control of their government to the country of origin, and that their protest delays negotiations.

“Political leaders, who are under pressure for diplomatic disputes, strive to find the condition that can satisfy both of them.”

Vedrine made the remarks when asked to give his thoughts on the debate reportedly in full swing in France over President Nicolas Sarkozy’s recent agreement with President Lee Myung-bak over the return of the old Korean books, dubbed “Oegyujanggak.”



National identity

The old texts were looted by French troops back in 1866 after their invasion of this country.

South Korea has sought to retrieve the cultural property for many, many years.

Like South Korea, the effort of certain countries to get their artifacts back from museums in other countries is often entangled with issues of national identity.

Ethiopia, which retrieved the Axum obelisk from Italy years ago after a decades-long diplomatic dispute, sees the obelisk as a national symbol.

There is a similar case in Peru, too. The Latin American nation is now working closely with Yale University on an accord on terms of condition of the return of Machu Picchu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s efforts to retrieve its treasure from the museum in France bore fruit in 1993.

Then French President Francois Mitterrand initially agreed to return the cultural assets to Korea during the summit talks with then South Korean President Kim Young-sam.

17 years later, France kept the promise.

During the G20 summit held in Seoul in November, President Lee Myung-bak and Sarkozy signed the deal to return the old publications to Korea on lease. The two sides agreed to renew the contract every five years.

The bilateral agreement reportedly drew backlash from people in the culture industry in France.

Curators, cultural ministry officials and those engaged in the museum industry are discontent with the decision.

Despite this, Vedrine, who served as the presidential chief of staff for Mitterrand when the former French president agreed to return the royal books to Korea, praised Sarkozy for the bilateral accord.

“I think President Sarkozy did a good job in that he fulfilled France’s commitment made by his predecessor back in the early 1990s.”

Machu Picchu materials

Vedrine said the years-long negotiations between Yale and Peru over the Machu Picchu archaeological items is another example of a dispute over the transport of cultural property.

Peru and Yale were engaged in a dispute over Machu Picchu materials that were excavated by an American historian and sent to Yale University in the 1910s.

In a statement released on Nov. 21, Yale announced it would return to Peru some archaeological materials on display at its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 university said it had reached an accord with Peru which is at the stage of being formalized.

“Under it, as an expression of good will and in recognition of the unique importance that Machu Picchu has come to play in the identity of the modern Peruvian nation, Yale will return, over the next two years,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statement read.

Thomas Mattia, chief communications officer of Yale University, declined to comment in great detail on the issue of the contested ownership of the artifacts.

“The statement on our website covers our position at this time. You will also see from the site that many of the pieces we have are shards of broken objects,” Mattia said in an email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I will note that we had negotiated an early agreement with the Peruvian authorities in 2007 and have always sought a settlement.”

The announcement on the accord came years after Yale was embroiled in a fight with the Peruvian government over the return of the archeological materials excavated by Yale historian Hiram Bingham III at Machu Picchu in the 1914 and 1915.

Bingham sent the materials to Yale’s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for study and scientific research.

About a century later, the return of the artifacts became a dispute between Yale and Peru.

The Peruvian government launched a campaign to retrieve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the government perceived, were linked to its national identity after President Alejandro Toledo took office in 2001.

Toledo, the first indigenous president, had vowed to recover the treasures before he stepped down in July 2006.

The Peruvian government’s effort to get them back was an uphill battle as the Latin American nation and Yale showed deep disagreements over ownership of the materials.

In an op-ed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in February 2008, Elian Karp-Toledo, the wife of former president Toledo who participated in negotiations with the university over the artifacts, said Yale had refused to accept that Peru is the sole owner of the artifacts.

“I fail to understand the rationale for Yale to have any historical claim to the artifacts. Bingham had no authority to transfer ownership to begin with,” the former first lady of Peru said.

In November 2005, Peru threatened to sue Yale. Regarding ownership, Yale claimed that it has no legal obligation to return the Macchu Picchu materials to Peru.

The two sides also showed differences over the number of Machu Picchu materials.
Yale stated that the number is approximately 5,500 objects—5,415 lots and fragments plus 329 museum-quality objects.

The university said it grouped the fragments of a single object. For example, it continued to say that shards of a single ceramic utensil or bone fragments from a single human body were counted as a single lot.

Meanwhile, Peru claimed approximately 46,000 pieces.

After rounds of negotiations, the two sides signed an agreement in 2007. Under the deal, Yale and Peru committed to completing “a definitive agreement” that would provide Peru with legal title to all of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with Yale retaining certain temporary rights.

Axum obelisk

Laurent Vedrine, Vedrine’s first son, directed a film entitled “Axoum (2005),” which dealt with the transfer of the Axum obelisk from Italy to Ethiopia.

Italian troops looted the obelisk in 1937 when Benito Mussolini was in power and took it to Rome where it had remained until 2005.

People in Ethiopia reportedly regarded the obelisk as part of their national identity.

The monument was set in Axum when Ethiopia adopted Christianity in the 4th century. Driven by the strong historical meaning linked to its national symbol, for decades the Ethiopian government sought to bring it back home.

After a decades-long diplomatic dispute between Italy and Ethiopia, Ethiopian foreign minister Seyoum Mesfin and Italian foreign ministry undersecretary Alfredo Mantica finally signed the agreement to transport the 160-ton stele from Rome to the city of Axum in 2005.

“I understand that there was a huge debate in Italy over the return of the obelisk in the past. The plan to return the monument to Ethiopia was met with opposition in Italy among conservatives,” Vedrine said.


'- > 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웃도어 해외 사이트  (0) 2010.12.13
평성, 소화, 대정, 명치 환산표  (0) 2010.12.08
결혼아카데미  (2) 2010.11.29
800년의 타임캡슐  (0) 2010.11.23
학문을 직업으로 삼으려는 젊은..  (0) 2010.10.28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2010. 11. 30. 23:46

'꽁뚜'에서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능합니다.  (0) 2010.12.09
진주 남강  (0) 2010.12.07
비화가야(非火伽倻)  (0) 2010.11.30
5년 전 그날,  (0) 2010.11.28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2010.11.23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창녕지역의 비화가야지역 고분 답사를 다녀왔다.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주 남강  (0) 2010.12.07
우리팀 : )  (3) 2010.11.30
5년 전 그날,  (0) 2010.11.28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2010.11.23
정글북  (0) 2010.11.23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2010. 11. 29. 17:41

가야지 가야지!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2010. 11. 28. 15:09

달력을 넘겨 날짜 계산할 필요도 없고 왼쪽 손목을 무겁게하는 시계는 던져 버리면 그만이다.

곧은 길 따라 가면 그만이고, 산이 막혀 있으면 팔 걷고 넘어가면 되는데


지금은 왜 자꾸 되돌아가려는지 모르겠다.

5년 전 그때 사진을 펼쳐본다. 짧게 머리를 자른 내가 있다. 그 뒤에는 '이 한목숨'라는 두껍게 선각된 글씨가 보

인다.


모두가 밝게 웃으면서 , 늠름한 아들이고 남자인척 하면서.. 가족과 그리고 사랑하는 연인에게 인사를 했다.

그리고 그곳에 남은 사람들은 그들이 빠져나가는 모습을 마지막까지 주시하다가 그들이 눈앞에서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그 자리를 지킨다.


그 날의 그사람은 옅은 갈색의 재킷을 입었고 몸에 딱맞는 그 재킷은 주인을 제대로 만난듯 보였다.

언제까지고 기억할 것만 같아던 모든 기억들이 희미해진다. 다행인지 모르겠지만 사진이 남아 있다.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팀 : )  (3) 2010.11.30
비화가야(非火伽倻)  (0) 2010.11.30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2010.11.23
정글북  (0) 2010.11.23
하하하하하 즐겁다.  (1) 2010.11.23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준비됐다. 국가가 부르면 언제든 가겠다.

이번에는 다른 것도 아닌 우리 섬을 공격했다. 증시만 걱정할 것이 아니라 희생자를 생각해야 할 때이다.

언제가는 해결해야 할 과제라면 지금이라도 좋다. 나는 준비됐다.




CCTV에 잡힌 연평면사무소에 포탄 떨어지는 ... - 출처 동아일보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화가야(非火伽倻)  (0) 2010.11.30
5년 전 그날,  (0) 2010.11.28
정글북  (0) 2010.11.23
하하하하하 즐겁다.  (1) 2010.11.23
용기  (2) 2010.11.17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2010. 11. 23. 11:40

 

저 소년..

캄보디아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년 전 그날,  (0) 2010.11.28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2010.11.23
하하하하하 즐겁다.  (1) 2010.11.23
용기  (2) 2010.11.17
수고하셨습니다.  (0) 2010.11.13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

ㅋㅋㅋㅋㅋ눈도 엄청 크고 피부도 무지 좋고 머릿결도 비단같고 더군다나 날씬하기 까지!

나 맞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맙다!! 이제부터 너가 역사고고학시간에 졸면 내가 바로바로 깨워줄게! ㅋㅋㅋㅋㅋㅋㅋㅋ고마워 : )

'Archaeologist_#'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2) 2010.11.23
정글북  (0) 2010.11.23
용기  (2) 2010.11.17
수고하셨습니다.  (0) 2010.11.13
마담  (0) 2010.11.12
Posted by Presidential timber:D